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앤 해서웨이 주연 코미디·성장 영화 - 프린세스 다이어리

by croissant-story 2025. 7. 2.

영화 프린세스 다이어리 포스터

  • 앤 해서웨이 주연 코미디·성장 영화 - 프린세스 다이어리
  • 줄거리
  • 미아 서모폴리스와 주요 등장인물 소개
  • 따뜻한 청소년 성장 영화

 

앤 해서웨이 주연 코미디·성장 영화 - 프린세스 다이어리

《프린세스 다이어리(The Princess Diaries)》는 2001년 8월 3일 미국 디즈니 픽처스(Walt Disney Pictures)에 의해 개봉된 코미디·성장 영화입니다. 감독은 패밀리 감동 코미디의 거장 개리 마셜(Garry Marshall)이 맡았으며, 원작은 2000년 메그 카봇(Meg Cabot)의 소설입니다. 주연은 이번 작품으로 데뷔한 앤 해서웨이(Anne Hathaway)로, 이후 할리우드 대표 여배우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녀와 함께 줄리 앤드루스(Julie Andrews)가 관록 있는 왕비 역으로 등장해 작품의 무게를 더했으며, 여러 조연 배우들이 개성 넘치는 캐릭터로 영화의 풍성함을 더했습니다. 영화는 개봉 당시 전 세계적으로 2억 6천5백만 달러가 넘는 흥행을 기록하며, 당초 예측을 훨씬 웃도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저예산 가족 코미디임에도 불구하고 앤 해서웨이의 풋풋한 매력과 ‘평범한 소녀가 공주가 되는’ 성장 스토리가 전 세대 관객의 공감을 얻으며 높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줄리 앤드루스는 1964년작 《메리 포핀스》 이후 40년 만에 디즈니 작품으로 컴백해 화제를 모았으며, 패밀리 무비의 품격을 한층 높였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감독 개리 마셜은 이 영화에서 ‘어글리 덕링(Ugly Duckling)의 변신’을 중심으로 유머와 감동의 균형을 잘 잡으며, 특유의 따스한 연출력을 발휘했습니다. 영화의 주요 테마는 ‘자아 발견’, ‘책임과 성장’, ‘진정한 관계’ 등으로, 이를 십 대 소녀의 내면적 갈등과 주세요. 소녀 시점에서 유쾌하게 풀어내며 단순한 코미디 이상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작품은 이후 청소년 성장기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2004년에는 후속작 《Princess Diaries 2: Royal Engagement》가 제작되었습니다. 최근에는 2024년 10월 앤 해서웨이가 공식적으로 세 번째 시리즈 제작 소식을 전하며, 디즈니에서 Princess Diaries 3가 추진 중이라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대 팬들의 관심이 다시 모이고 있으며, 이야기가 지속될 수 있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줄거리

평범한 샌프란시스코 고등학생 미아 서모폴리스(Mia Thermopolis)는 평소 같은 반 친구들에게 무시당하는 내성적이고 어울리지 못하는 학생입니다. 그녀는 어머니 헬렌(Helen Thermopolis)과 고양이 ‘Fat Louie’와 함께 리모델링된 소방서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미아는 자신에게 특별한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며 내성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버지의 죽음과 더불어 그녀는 자신이 작은 유럽 왕국 ‘제노비아(Genovia)’의 왕위 계승자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 사실을 전하기 위해 왕비이자 외할머니인 클라리스 렌달디(Clarisse Renaldi)가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합니다. 미아는 처음에 자신이 공주가 될 것이라는 소식에 충격을 받으며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합니다. 외할머니는 미아에게 세 주 안에 공주 수업—예절, 연설, 대중 앞에 설 준비 등—을 통해 ‘제노비아 공주가 될 수 있을지’ 결정할 시간을 줍니다. 미아는 어색함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점차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수업에 참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리무진, 왕실 경호원 ‘조(Joe)’의 등장, 학교에서의 팩 클럽 변화 등, 미아의 일상이 급변합니다. 그러나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미아는 학교 최고 인기남 조쉬(Josh Bryant)의 이벤트에 참여하고, 우정과 자기 자신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친구 릴리(Lilly Moscovitz)와 형 마이클(Michael Moscovitz)과의 관계에도 트러블이 발생합니다. 특히 파티에서 감쪽같이 흔들린 모습이 파파라치 사진에 찍히며 왕실 위신에 금이 갑니다. 절망에 빠진 미아는 자긍심을 잃고 왕위 포기를 생각하지만, 아버지의 생전 편지와 외할머니의 다정한 조언, 친구 릴리와 마이클의 진심은 그녀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결국 독립기념일 무도회에서 미아는 자신이 공주로서의 역할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하며 연설합니다. 이후 마이클의 손을 잡고 무도회 정원에서 키스하는 장면은 감동적인 클라이맥스를 이룹니다최종 장면에서는 미아, 어머니, 고양이와 함께 제노비아로 향하는 비행기를 타며 새로운 삶을 향한 여정을 시작한다는 내레이션과 함께 영화가 마무리됩니다이처럼 영화는 평범한 십 대 소녀가 ‘책임감 있는 공주’로 성장하는 과정을 유머와 감동을 곁들여 그려내며, 자아 발견과 선택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미아 서모폴리스와 주요 등장인물 소개

• 미아 서모폴리스(Mia Thermopolis) – 앤 해서웨이(Anne Hathaway)

평범하면서도 수줍음 많고 내성적인 15세 고등학생 미아를 연기했습니다. 젊고 풋풋한 매력은 첫 등장부터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공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 드라마를 완성합니다. 특히 앤 해서웨이는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밝고 순수한 연기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으며, 이후 영화 커리어의 전환점이 됐습니다.

• 클라리스 렌달디 여왕(Queen Clarisse Renaldi) – 줄리 앤드루스(Julie Andrews)

유럽 제노비아의 여왕이자 미아의 외할머니로, 그녀를 공주 교육시키기 위해 미국을 방문합니다. 점잖고 우아한 왕실 품격을 연기하며, 영화에 안정감과 품위를 더했습니다. 줄리 앤드루스는 이 역할로 《메리 포핀스》(1964) 이후 모처럼 디즈니 작품으로 복귀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 조(Joe) – 헥터 엘리존도(Héctor Elizondo)

왕실 경호원이자 운전기사 역할로, 미아가 혼란스러울 때 아버지 같은 존재로 다가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조력자로서 미아를 지탱해 주는 중요한 조연입니다.

• 릴리 모스코비츠(Lilly Moscovitz) – 헤더 마타라조(Heather Matarazzo)

미아의 절친이자 날카롭고 솔직한 성격을 가진 친구입니다. 미아가 변화함에 따라 우정이 흔들리지만, 진심 어린 충고와 이해로 그녀를 돌아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마이클 모스코비츠(Michael Moscovitz) – 로버트 슈워츠맨(Robert Schwartzman)

릴리의 오빠이자 미아를 은근히 좋아하는 다정한 캐릭터입니다. 무도회에서 미아에게 진심 어린 제안을 하며, 영화의 센티멘털한 마무리에 기여합니다.

• 조쉬 브라이언트(Josh Bryant) – 에릭 폰 데텐(Erik von Detten)

미아가 짝사랑했던 인기남으로, 은밀히 미디어 노출을 노리는 이기적인 청소년 상징 역할을 수행합니다.

• 라나 토마스(Lana Thomas) – 맨디 무어(Mandy Moore)

조시의 여자친구이자 기죽이는 학교 인기녀이며, 미아에게 일시적 갈등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 헬렌 서모폴리스(Helen Thermopolis) – 캐롤라인 굿올(Caroline Goodall)

미아의 어머니로, 예술가적 감수성을 지닌 인물입니다. 딸을 이해하고 따뜻하게 지지하는 엄마 역할로서 관객의 공감을 이끕니다.

• 필립 렌달디 왕자(Philippe Renaldi, 목소리) – 르네 오베르조네 아(René Auberjonois)

미아가 직접 만나지는 않지만, 아버지로서의 유산과 편지를 통해 미아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입니다.

• 파올로(Paolo Puttanesca) – 래리 밀러(Larry Miller)

미아를 메이크오버하는 헤어디자이너로, 영화의 코믹함과 극적 전환의 장치를 제공하는 캐릭터입니다.

이 외에도 학교 친구들, 교사, 제노비아 귀족들과 기자들 등 다수의 조연이 영화의 풍성한 배경과 유머를 완성합니다.

 

따뜻한 청소년 성장 영화

《프린세스 다이어리》는 단순한 코미디나 성장 영화가 아니라, 청소년 내면의 갈등과 책임, 우정과 정체성에 대한 다층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첫째, 자아와 책임 사이의 고민입니다

미아는 왕위 계승이라는 엄청난 책임 앞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고민합니다. 겉보기에는 공주의 화려함이 주어졌지만, 내면에서는 ‘평범한 십 대로 남고 싶어 하는 마음이 갈등을 이끕니다. 이는 성장 과정에서 흔히 겪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고민을 은유적으로 보여줍니다.

둘째, 우정과 진정한 관계의 가치입니다

영화는 인기와 외적 변신을 위해 릴리를 배제하거나, 자아 중심의 삶을 향할 수 있는 미아의 모습을 통해 우정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줍니다. 릴리와 마이클, 어머니 헬렌과의 관계 속에서 미아는 자신이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습니다.

셋째, 진실한 자신을 수용하는 성장입니다

공주 수업과 이미지 변신이 중요한 것은 아니며, 영화는 미아가 어색하고 부끄럽더라도 '솔직한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독립무도회에서 진정한 자신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사람들과 공유하는 장면은 영화의 핵심입니다.

넷째, 여성의 역할과 자아실현입니다

주인공 미아는 왕으로서, 여학생으로서, 딸로서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합니다. 이 영화는 여성에게 부여되는 다중적 책임과 기대를 해학적으로 그리면서, 여성이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위치를 찾아가는 과정을 미묘하게 표현합니다.

다섯째, 세대를 아우르는 보편적 공감입니다

2001년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도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이 된 이유는, 미아가 겪는 감정, 불안, 기대, 자존감, 설렘이 모든 세대에게 공감할 수 있는 정서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프린세스 다이어리》는 "나답게 살되, 책임을 지고 관계를 소중히 하라"는 메시지로 완성됩니다. 또한 온 가족이 함께 봐도 좋은 따뜻한 성장 영화로서 앞으로도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을 것입니다.